ADHD자가진단과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이맘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ADHD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4.05.02 - [정신건강 필수 정보] - 산만한 아이│ADHD 진단기준과 치료

 

산만한 아이│ADHD 진단기준과 치료

안녕하세요. 아이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이들에게 흔히 보이는 'ADHD, 진단기준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ADHD란?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는 주로 소아 및 청소년에서 발

imom1016.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ADHD를 혼자 진단을 해보는 방법과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혹 담임선생님의 전화를 받는 학부모님들이 있습니다. 담임선생님들은 아이가 너무 산만해요,’, ‘아이가 계속 수업을 방해하네요.’, ‘통제가 되질 않아요.’라는 말을 부모님께 전합니다.

 

어떤 학부모님들은 가볍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애들이 원래 그렇지 뭐’, ‘아직 어려서 그래요.’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부모님께 아이가 문제가 있다는 말을 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아마 수십 번 생각하고 고민해서 연락을 드렸을 것입니다.

 

ADHD는 조기발견 및 치료가 정말 중요한 질병입니다. 방치한다면 그 아이는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하거나 선생님께 매일 혼나야 하는 등 계속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불안장애, 성격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자란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성인ADHD를 가지게 되며, 어린 시절을 불행하게 보냈기 때문에 행복한 어른이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ADHD는 정신과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하여야 하지만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데리고 정신병원을 가는 것을 대부분 꺼려합니다.

 

그래서 병원에 가기 전에 할 수 있는 자가진단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집에서 아이의 집중력 강화를 위해 할 수 있는 훈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DHD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더보기

ADHD자가진단 체크리스트

 

<과잉행동, 충동성 부분

1. 의자에 앉아서 몸을 꼼지락거리는 등 손, 발을 가만두지 못한다.

2. 앉아 있어야 하는 학교 교실이나 비슷한 상황에서 자리를 이탈한다.

3. 어떤 곳이든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른다.

4. 조용히 놀거나 여가활동에 참여하지 못한다.

5. 마치 모터가 달린 듯 끊임없이 행동한다.

6. 지나치게 수다스럽다

7.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성급하게 대답한다

8. 본인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9. 다른 사람의 활동을 간섭하고 방해한다.

 

<주의력 결핍부분> - 6개 이상

1. 세부적인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학업 및 다른 활동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많이 한다.

2. 놀이나 무언가를 할 때 지속적으로 집중하지 못한다.

3. 누군가 말을 할 때 경청하지 않는다.

4. 학업, 일에서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지시를 완수하지 못한다.

5. 과업과 활동을 체계화하지 못한다.

6. 지속적인 집중이 필요한 학업, 숙제를 싫어하고 피하기 위해 저항한다.

7. 숙제나 활동에 필요한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린다.

8. 소리 같은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9. 평범하고, 일상적인 활동을 잊는다.

위 체크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6개 이상 해당이 되고 6개월 이상 지속이 된다면 ADHD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조용한 아이라도 주의력 결핍 부분에서 6개 이상이 나온다면 조용한ADHD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는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ADHD관리와 치료방법

 

교사나 부모님들은 ADHD 아이들을 많이 혼냅니다. 산만한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려고, 말을 잘 듣게 하려고 다그치면서 혼내려고 합니다. 그렇지만 ADHD는 강압적으로 혼낸다 하더라도 아이의 행동이 개선되지 않습니다. 병리적인 것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약물치료와 함께 상담, 행동치료도 함께 병행하여야 좋습니다.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

1. ADHD치료를 위해서는 가족들이 함께 노력하여야 합니다. 아이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과제나 놀이를 하게 해주고, 성공하면 칭찬을 해주어 자존감을 높여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좋습니다. 점차 과제의 난이도를 높여주시면 아이들은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것입니다.

 

2. 또한, 아이들이 산만해지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좋습니다. 아이가 활동하는 공간에 정리정돈을 깔끔하게 해주시고, 아이가 스스로 물건을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주세요. 이것도 쉬운 것부터 천천히 늘려주시면 좋습니다. 아이에게 정리하고, 쓸고, 닦고를 모두 시키는 것이 아니라 쉬운 것부터 하도록 해주고 해내면 칭찬을 해주세요.

 

3. 거울을 보며 가만히 있기 훈련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처음에는 1분, 그 다음에는 2분, 늘려나가고 아이가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면 칭찬을 해주세요.

 

4. 실패해도 괜찮다고 해주세요. 공기놀이를 하면 아이들은 실패를 많이 경험합니다. 하지만 50번의 노력 끝에 한번 성공했다면 그때의 희열을 느끼게 해주세요. 실패해도 괜찮다는 말은 아이가 문제를 틀려도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ADHD의 자가진단 방법과 집중력 향상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이들은 잘못이 없습니다. 아이들이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적절한 치료와 관심을 가져주세요. 행복한 가정을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