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결혼식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 적절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결혼식 축의금 액수에 대한 고민이 늘어나고 있죠. 물가 상승과 결혼식 형태의 다양화로 인해 축의금 문화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식대 이하’의 축의금을 낼 바에는 참석하지 않는 것이 예의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적절한 축의금 액수는 얼마일까요?
웨딩홀과 호텔 결혼식 비용
서울 시내 웨딩홀의 평균 식대는 약 8만 원으로, 최소 6만 6천 원에서 최대 10만 8천 원까지 다양합니다. 호텔 웨딩홀의 경우, 식대가 더 비쌉니다. 저렴한 곳은 13만 원 정도, 비싼 곳은 20만 원에 달합니다.
친한 친구가 결혼준비를 하고 있는데 지방인데도 3천만원 넘게 든다고 하더군요..
확실히 요즘 결혼식이 서로 부담이 되는 행사인 것 같습니다. 결혼식 업체만 돈 버는 느낌이랄까요.
결혼 비용의 증가
10년 전과 비교해 결혼 비용은 거의 두 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2013년에 발표한 ‘결혼 비용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1인 식대는 3만 3천 원, 대관료는 300만 원이었습니다. 요즘에 식대가 6만원대 이상인 것을 보면 정말 두 배 이상 상승했네요.
이처럼 결혼 비용이 급등한 원인으로는 물가 상승과 예식장 수 감소가 꼽힙니다. 코로나 팬데믹 동안 결혼식이 줄어들며 많은 중소 예식장이 폐업했고, 남은 예식장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결혼을 압둔 예비부부들은 참 마음고생이 많을 것 같습니다.
축의금 논쟁
당연히 하객들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3만~5만 원 선에서 축의금을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고물가 시대에 맞춰 축의금도 더 내야 하는지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축의금 5만 원을 낼 거면 참석하지 않는 게 예의'라고 합니다. 요즘 정석은 ‘참석하면 10만 원, 불참하면 5만 원’인듯 합니다.
설문조사 결과
신한은행이 발표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식에 가지 않고 축의금만 보낸다면 5만 원, 직접 참석한다면 10만 원을 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15만 원 이상을 낸다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저도 친구가 호텔에서 결혼한다고 해서 장난으로 '5만원 낼게'라고 하니 오지 말라고 하더군요..ㅎㅎ
조사에 따르면, 지인의 결혼식에 가지 않는 경우 축의금으로 5만 원을 낸다는 사람이 52.8%였고,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 10만 원을 낸다는 의견이 67.4%로 가장 많았습니다.
축의금 액수는 결혼식 장소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요즘 사람들의 인식은 웨딩홀 결혼식에서는 10만 원, 호텔 결혼식에서는 15만 원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는 이제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신랑신부에게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니 본질을 잊지 않도록 합시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세리 대전 집 강제경매 매물로 등장 (0) | 2024.06.17 |
---|---|
주식시장의 '네 마녀의 날': 쿼드러플 위칭데이 (0) | 2024.05.20 |
맨발 걷기와 어싱 효과 (0) | 2024.05.18 |
백일해 뜻, 증상과 치료 (0) | 2024.05.10 |
가스라이팅의 뜻과 사례 및 예방 방법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