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의 '네 마녀의 날': 쿼드러플 위칭데이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시장의 '네 마녀의 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네 마녀의 날'이라는 용어가 1년에 4번 등장합니다. '마녀'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는 주가가 크게 흔들릴 수 있는 날을 표현한 것입니다. 네 마녀는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선물, 개별 주식 옵션이라는 4가지 파생상품을 가리킵니다. '네 마녀의 날'은 이 4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동시에 겹치는 날로, 영어로는 '쿼드러플 위칭데이'라고도 불립니다.


네 마녀는 누구인가?

주식시장은 크게 현물(주식)과 파생상품으로 나뉩니다. 파생상품에는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선물, 개별 주식 옵션이 포함됩니다. '네 마녀의 날'은 이 네 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한꺼번에 겹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612일부터 '쿼드러플 위칭데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트리플 위칭데이'로 불렸습니다.

 

'네 마녀의 날'의 날짜

'네 마녀의 날'은 매년 3, 6, 9,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에 발생합니다.

올해는

3월 14일,

6월 13일,

9월 12일,

12월 12일이 되겠습니다. 체크해놓고 주식거래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이 날은 파생상품의 만기일로, 선물과 옵션의 포지션을 정리하려는 투자자들과 변동성을 이용하려는 투기적 거래자들이 활발히 움직입니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반응형

'네 마녀의 날'의 영향

이 날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급격히 커지는 날입니다. 선물과 옵션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투자자들과 변동성을 노린 투기적 투자자들이 거래를 활발히 하기 때문입니다. 예측하기 어려운 주가 움직임이 나타나고, 현물과 선물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한 거래 물량이 시장에 쏟아집니다. 대표적인 예로 '도이치증권 옵션쇼크' 사건이 있습니다.

 

도이치증권 옵션쇼크

20101111, 도이치은행 홍콩지점과 도이치증권 한국법인은 코스피 시장이 마감되기 직전에 약 24000억 원 규모의 주식을 대량 매도했습니다. 이로 인해 코스피 지수는 10분 만에 2.3% 폭락했고,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도이치증권은 이 하락에 베팅하는 풋옵션을 많이 사들여 400억 원이 넘는 이익을 챙겼습니다. 이 사건은 옵션 만기일에 발생했지만, 선물 만기일과 겹치는 '네 마녀의 날'에는 이러한 변동성이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네 마녀의 날'의 중장기적 영향

'네 마녀의 날'은 파생상품의 만기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큰 변동성을 유발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단기적인 변동성이 부담스러운 투자자들은 이 날에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 마녀의 날'은 주식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날입니다. 4가지 주요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는 이 날은 큰 변동성이 예상되므로,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이해와 신중한 거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